한옥

[스크랩] 한식 기와 관련용어

행복한건축가s 2009. 1. 13. 15:34
암키와 : 오목한 곡면으로 된 장방형의 기와, 바닥기와
수키와 : 반원형으로 되고 끝에 언강이 달린 기와
내림새 : 드림판이 달린 암키와 = 암막새
막새 : 드림판이 달린 수키와 = 수막새
망새 : 지붕마루 끝에 엎어대는 내림새 모량의 기와, 바래기기와 = 망와
수망새 : 수망와, 지붕마루 끝에 대는 막새모양의 기와, 곱새기와
귀내림새 : 양면에 드림이 달린 모서리(왕지)용의 암기와 ,귀내새
귀막새 : 드림새가 꺽인 듯이 보이는 모서리용의 수기와
연목막새 : 서까래 끝마구리에 붙여대는 장식판 기와, 초가리기와
부연막새 : 부연 끝마구리에 붙에 대는 장식판 기와, 부연초가리
용머리 : 지붕마루에 얹는 상징적 장식기와
취두 : 권위 건물의 용마루 끝에 대는 장식기와
치미 : 큰 독수리의 꼬리모양으로 된 고대 건물의 용마루 장식기와
잡상 : 수호신.수호수를 상징하는 귀마루.내림마루의 장식기와
귀면와 : 지붕마루끈, 추녀 사래면에 세워대는 귀면모양을 새긴 장식기와 
모골기와 : 드림무늬를 찍는 원판을 진흙을 빗어 구어 만든 것
연가 : 굴뚝지방에 설치하는 장식
연봉 : 막새를 고정하는 못머리에 꽂아 장식하는 도자기, 도련
토수 : 추녀.사래끝 마구리에 끼워대는 장식기와
토수기와 : 지름이 앞머리는 크고 뒤뿌리는 작게 만든 수키와
곡여와 : 용마루가 없는 지붕마루턱에 덮는 굽은 암키와, 여곡와
곡부와 : 용마루가 없는 지붕마루턱에 덮는 굽은 수키와, 부곡와
타원막새 : 드림새(드림판)가 타원형으로 된 숫막새
절병통(節甁桶) : 정자지붕의 꼭대기에 설치하는 장식기와. 사모. 육모. 팔모지붕에서 추녀마루들이 지붕 꼭대기에 다 모아졌을 때 그 정상에 올려 놓는 흙. 돌 .쇠붙이로 만든 것. 대략 병 모양이며, 둥글거나 팔모로 접어 만든다.
기왓골 : 바닥기와를 처마로부터 용마루까지 깔고 수키와를 덮은 고랑을 일컫는 말.
기와춤 : 수키와를 이을 때 암키와에서 수키와등까지의 높이.
북수 : 기와로 만든 홈통. 하수구용으로도 쓰임
물매 : 급한 경사도를 물매가 싸다라고 하고 경사가 완만하면 물매가 뜨다고 한다.
마루높이 : 지표에서 용마루까지의 높이. 집의 총고(總高). 
방초막이 : 방초(막새)가 흐르지 않도록 방초정(防草釘, 와정)을 박는 일
방초정, 와정(瓦釘) : 수키와가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수키와 등에 뚫어 놓은 구멍에 박는 가늘고 긴 쇠못.
와서(瓦署) : 나라에서 쓸 기와를 굽는 일을 맡은 관아.
별와서(別瓦署) : 민간에 기와를 공급하던 관아 
와요(瓦窯) : 기와를 굽는 공장. 기와를 굽는 가마
와의(瓦衣) : 기와지붕에 나는 풀
번와(燔瓦, 飜瓦) : 기와를 굽는 일. 오래된 지붕을 고치는 일
와구(瓦溝) : 기왓고랑.
와도(瓦刀) : 기와 잇는 일 에 쓰이는 연장.
와봉(瓦縫) : 기와를 이은 이음새.
와즙(瓦葺) : 기와로 지붕을 이음.
와구토(渦口土) : 막새 대신 기와골 끝의 수키와에 회(灰)물림 한 것. 아구토
언강 : 수키와를 연접시킬 때 접합하게 된 부분. 턱이 만들어진다.
왕지기와 : 추녀나 사래 끝에 암키와를 크게 만들거나 두 개를 덧대어 만들어 귀를 세우게 한 것. 박공의 소슬각 등에 삼각형으로 깎아 얹는 암키와.
착고(着高) : 당골을 써서 적새밑둥의 기와골을 막은 것.
당골(단골) : 기와지붕에서 쓰는 반동강의 기와.
당골막이(단골매기) : 단골을 써서 기와골이 용마루에 닿는 부분을 정리한 것. 또는 그렇게 하는 일.
적새 : 마루를 만들 때 겹쳐 쌓는 암키와
부고 : 착고매기한 위에 덧 놓은 수키와
개와장(蓋瓦匠) : 기와를 잇는 사람, 개장(蓋匠), 기와쟁이, 개와장
와장(瓦匠). 와박사(瓦博士) : 기와를 만드는 장인
 
※초가의 경우
개초(蓋草) : 이엉, 이엉으로 지붕을 잇는 일
개초장(蓋草匠) : 지붕을 잇는 일을 업으로 하는 장인
개초장이, 이어장이, 초즙장이 : 초가지붕을 잇는 일을 하는 전문가 

 
 
 
 
 
출처 : 학천농장
글쓴이 : 학천 원글보기
메모 :